□ 연구의 필요성
◦ 새로운 위험요인 발생에 즉각 대처할 수 있으며, 재난·안전·위기관리의 기능이 실질적이고 전문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정책 추진체계가 필요함
◦ 시민의 안전권 확보를 위하여 각종 사회적·환경적 위협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수 있는 사회적 장치를 만드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등장하였으며, 시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새로운 위험(new risk)에 대체할 수 있도록 현황과 문제점을 되돌아보고 이를 효과적으로 보완하는 것이 바로 지방자치단체의 올바른 위기관리의 주요한 역할이라고 할 수 있음
□ 주요 연구내용
◦ 울산에 산재한 안전에 대한 위협 요소들 파악과 데이터화
◦ 시민들이 생각하는 안전에 대한 위협요소들에 대한 인지, 견해 및 의식 조사
◦ 울산 시민들의 사회적 위험에 대한 관리의 합리적 실천가능성으로서의 위험관리 대처 방안
◦ 통합형 국가위기관리체제 구축이 시대적·세계적 변화추세 속에서, 한국의 경우에도 통합형 국가위기관리체제 구축이 가시화되고 있는 만큼, 울산광역시 차원의 안전과 관련된 위기관리 추진에 대한 방법 및 방향 설정
◦ 특히 울산에 고유한 안전관리체제에 대하여 시민의식조사를 통하여 정책화함으로써 이에 대한 추진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함
□ 기대효과 및 활용계획
◦ 안전도시 울산에 맞는 안전 위협 요인들에 대한 사전 파악 및 접근 자료 구축
◦ 안전도시 울산이라는 이미지 제고
◦ 도시발전 방안의 한 부분으로서의 성장 동력원 제공
> 연구성과물
>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보고서명 | 안전도시 울산 건설에 관한 연구 | ||
연구부서 | 기획경영실 | 과제분류 | 기본과제 |
연구진 | 김혜림 | 발행연도 | 2011 |
첨부파일 | 분량/크기 | 2.1M | |
다운로드수 | 11407 | 조회수 | 13869 |
김혜림 연구진의 다른 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