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울산 지역 내 범죄발생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대상으로 범죄유형을 파악하여 그에 맞는 범죄예방 설계기법을 제안하고자 하였음.
울산시의 범죄 특성에 대한 조사를 위해 범죄유형별, 지역별 발생 실태를 조사· 분석하였고, 울산에 적용가능한 범죄예방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범죄에 대한 인식조사를 실시하였음.
본 연구의 결과로 다음 3가지의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함.
첫째, CPTED 관련 조례 및 지침을 제정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음. CPTED관련 조례는 범죄예방환경설계 지침 수립에 관한 사항, 범죄예방 위원회 설치에 관한 사항, 범죄예방사업 지원에 관한 사항 등 크게 3가지의 내용으로 구성함.
둘째, 설계단계에서부터 적용이 가능한 CPTED 디자인가이드라인을 제시할 필요가 있음. 설계단계는 건축물이나 구조물뿐만 아니라 지구단위계획의 설계에서도 관련 내용을 반영하여 실생활에 적용하도록 할 필요가 있고, 지역의 특성 및 토지의 이용 목적 등에도 적절한 내용을 반영하여야 함.
셋째, 원도심이나 재개발, 재건축 지역에 대한 CPTED적용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원도심 등은 좁은 골목길과 높은 담장, 각종 사각지대로 인해 범죄에 취약해 질 수 밖에 없는 공간을 보다 편안하고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하고, 지역 주민의 커뮤니티를 활용하여 도시환경을 개선해보자는 것에 의미가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