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울산연구원
> 연구성과물 >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밴드 구글플러스

보고서명 울산 기초부품업체 기업실태와 육성방안연구 -소규모 금속가공제조업 중심-
연구부서 창조경제연구실 과제분류 정책과제
연구진 이경우,강영훈 발행연도 2014
첨부파일 분량/크기 4.5M

발간사

 

현재 울산 제조업의 경쟁력을 타시도와 비교 한다면 과히 ‘난공불락’이라해도 과언은 아닐것입니다. 그동안 한국의 고도성장을 이끌어왔던 주력업종인 조선, 석유화학, 자동차산업의 핵심도시가 울산이었던 점을 감안한다면 상식과도 같은 사실일 것입니다. 2011년 총부가가치기준의 입지계수(산업구성의 상대적 집적도)를 살펴보더라도 울산의 입지계수는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과 비교하여 최대 15배, 최소 2.1배 높은 경쟁력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하지만  제조업이  발달한  울산의  경우  국가와  대기업  주도의  계획산업도시로  출발함으로인해 제조산업구조의 중간과 상부구조는 상당히 발달하여 있으나 하부구조를 담당해야 하는 기초제조업체가 상대적으로 열악한 구조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울산 자동차와 조선해양산업의 피라미드는 상위권(대기업 및 중견기업)과 중위권(중소기업)이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나, 자동차 및 조선해양산업관련 소규모 제조업체, 특히 금속가공제품 소규모 제조업체,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체,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체의 경우 울산의 주력제조산업의 생산능력 및 경쟁력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열악한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특히 2차 및 3차 협력업체의 경우 작은 기초부속부품의 대부분을 울산이 아닌 부산, 대구,경인지역에서  상당수의  물량을  공급받고  있는  실정으로  직접적으로는  물류비  상승의  애로요인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간접적으로는 울산 제조산업 구조의 기초산업군이 취약하여 대기업 및 중견기업으로부터의 낙수효과가 극대화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울산지역  소규모  제조업체의  기업운영실태와  경영애로요인을  파악하고, 향후 울산지역의 제조산업의 기초산업군 육성을 위한 정책제안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본 정책과제에서 제안하는 울산지역 소규모 제조업체의 지원 및 육성방안을 통하여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 기초기술제조업의 가치사슬을 견고히 하고 향후 울산의 주력산업고도화에 따른 지역경제파급효과를 극대함과 동시에, 현재 열악한 소규모 기술제조업체의작업환경 및 판로지원 등이 개선되었으면 합니다. 또한 해당 산업군 근로자들의 삶의 질을개선시키고 소규모 기술제조업체의 안정적 지속성을 위한 초석이 마련되었으면 합니다.  

이경우,강영훈 연구진의 다른 보고서
보고서명
(44720)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중로 6 TEL.052-283-7700 FAX.052-289-8668
COPYRIGHT(C) Ulsan Research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