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문
● 지역의 전통문화예술 전수자 등에 대한 인터뷰를 통해 전통문화자원의 상업화 및 산업화에 있어서의 문제점 등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대안적 방안들을 제시함으로써 지역의 전통문화자원의 상업화 방안에 대해 알아봄
● 전통문화자원의 상업화에 성공했다는 평을 듣는 사례들에서 찾아 볼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음
- 전통문화의 생활영역에로의 확장, 대량생산을 위한 기계화, 전문인력네트워크 구축, 철저한 대중성의 지향, 홍보 강화
● 지역전통문화 전수자들에 대한 인터뷰 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발견되었음
- 상품 기획인력의 부재, 상품제작의 어려움, 소규모 제작공정으로 인한 홍보 및 마케팅의 부재, 유통과 배급상의 난맥, 소비진작의 문제
● 이에 따른 정책제언은 아래와 같음
- 기획 인력의 양성 및 활용, 전통문화계승관의 건립
● 전통문화계승관은 단순히 생산자들이 생산한 창작물들을 판매하기 위한 목적이 아니라 이들의 네트워크를 통한 새로운 작업 및 아이디어의 창출을 위한 것이기도 함
● 전통문화계승관은 전통문화자원의 홍보, 판매뿐만 아니라 전통문화를 시연하고 전수하는 한편 후진을 양성하는 교육기능을 수행해야 함
● 전수자들은 일반소비자를 위해서는 생활 속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소품을 대량생산하여 저렴한 가격에 공급하고, 고급예술명품은 수작업을 통해 작업함으로써 희귀성을 높여 소장 가치를 가지게 하는 전략을 구사하고 싶어 함
● 지역의 전통문화자원의 생산품에 대한 홍보를 강화하고, 단지 울산지역뿐만 아니라 더 적극적인 자세로 해외 판매 등을 위한 전략을 생각해봐야 함
● 지역의 전통문화자원을 활용한 상업화 제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