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클라우드 시장규모는 2014년 836억 달러에서 오는 2019년 1,882억 달러로 연평균 16.9%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우리나라 클라우드 시장규모는 2014년 5.4억 달러에서 2019년 12억 달러로 연평균 17.7%의 급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 바 있다.
정부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민간영역에서 벗어나 공공영역으로 확산시키기 위해 2015년 9월 ‘클라우드 컴퓨팅 발전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였으며, 지자체 클라우드 전담 기관으로 한국지역정보개발원을 지정하였다.
클라우드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스토리지 등 IT 자원을 개별로 구축하지 않고 IT 자원을 제공하는 기관 또는 업체로 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빌려 쓰는 개념으로 자원부족과 기후
변화 등의 문제를 겪고 있는 지구촌이 필수적으로 도입해야 할 컴퓨팅 환경이다. 미국, 영국, 일본 등 주요 선진국에서는 클라우드 도입을 적극 권장하고 있어 도입률이 30%를 상회하고 있다. 이에 비해 우리나라 클라우드 서비스 도입률은 세계 평균 25%에도 미치지 못하는 18%에 불과하다.
본 연구는 울산 공공부분에 대한 클라우드 컴퓨팅 적용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경기도, 인천시, 군산시 등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 추진한 사례를 참고하여 우리 지역에 적합한 추진 전략과 과제를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