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청년 실업 문제를 최고의 우선과제로 삼고 많은 정책을 내놓고 있다. 특히 공공부문 일자리 확대와 창업이라는 수단으로 청년 실업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청년 실업 문제는 난해한 수학 문제처럼 해결책을 찾기가 너무나 힘든 실정이다.
이 연구는 울산 청년의 현재를 다양한 측면에서 살펴보고, 이들이 겪고 있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의도를 갖고 시작했다. 울산만의 특징을 찾아보았지만 크게 다른 점은 발견하지 못했으며 한국 청년이 갖고 있는 어려움을 이들이 그대로 겪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약간의 차이점으로 울산 청년은 부모 세대의 소득이 높아 학자금 대출 비율이 비교적 낮은 편이고, 빈곤 청년의 비율도 낮았다. 또한 청년의 경제활동참여율과 고용률도 다른 지역보다 약간 낮은데 그 이유는 차후의 세밀한 분석에서 답을 찾아야 할 것으로 보인다.
청년 문제에 대해 지역 차원에서 정책 수단을 찾는다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울산시의 경우 40여 가지의 다양한 청년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창업과 일자리 정책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이 두 정책이 청년 문제의 해결을 위한 근본적인 대책이기 때문에 방향을 옳게 잡았다고 판단된다.
이 연구는 울산시의 정책을 보완하는 측면에서 청년의 주거, 문화, 복지 등을 중심으로 새로운 정책을 구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