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울산연구원
> 연구성과물 >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밴드 구글플러스

보고서명 제4차 산업혁명과 울산의 대응 방향
연구부서 경제사회연구실 과제분류 기획과제
연구진 김문연,강영훈, 황진호, 김상우, 박재영, 김상락 발행연도 2017
첨부파일 분량/크기 19.4M

4차 산업혁명은 제조업의 가치사슬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기업들은 제품 기획 과정에 소비자 니즈를 반영하기 위해 빅데이터를 활용하고 있고, 설계 등의 연구개발 과정에도 인공지능이나 3D 프린팅을 이용하고 있다. 제조공정은 센서, IoT,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터 등을 활용한 맞춤형 대량생산체제를 구축하여 제조 경쟁력을 급속히 향상시키고 있다. 또한 이 기업들은 주력 수익원을 하드웨어형 제품에서 소프트웨어형 서비스로 전환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에 잘 대응한 것으로 평가받는 GE는 항공엔진을 생산하는 기업에서 운항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기업으로 바뀌었다.

 

기존 산업에서도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자동차산업에서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을 활용하는 자율주행 자동차가 그 모습을 속속 드러내면서, 자동차가 더 이상 단순한 이동수단이 아닌 Mobility Hub로 진화하고 있다. 자율주행 자동차가 상용화되는 시기에는 자율주행을 통제하는 소프트웨어와 탑승자가 소비하는 콘텐츠를 공급하는 기업이 단순 제조를 담당하는 기업보다 훨씬 많은 수익을 얻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해양산업에서도 건조 공정에 IoT,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고, 빅데이터로 수집된 수요자의 니즈가 반영된 스마트선박도 조만간 생산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처럼 4차 산업혁명은 장치형 산업이 주력산업인 울산에게 큰 과제를 던져주고 있다. 울산이 4차 산업혁명의 큰 물결에 재빠르게 탑승하지 않으면 지금까지 갖고 있던 입지에서의 경쟁우위를 상실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경쟁력 상실은 곧바로 기업의 부가가치 하락과 일자리 감소로 이어질 것으로 판단된다. 이 같은 긴박함에도 불구하고 기업들은 4차 산업혁명에 대해 어느 정도 인식은 하고 있지만, 대응 수준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응책 마련을 위해서는 기업뿐만 아니라 정부와 울산시의 역할이 큰 것으로 인식된다.

 

이 연구를 통해 4차 산업혁명이 제조업, 특히 대규모 자본 투입형 산업에 집중된 울산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기업은 4차 산업혁명을 어느 정도로 심각하게 인식하고 대응하고 있는 지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울산의 대응 방안을 산업 및 시기별로 제시하였다. 다만 이 연구가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라는 한계가 있는 것은 자명하며 추후 분야별로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김문연 연구진의 다른 보고서
보고서명
(44720)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중로 6 TEL.052-283-7700 FAX.052-289-8668
COPYRIGHT(C) Ulsan Research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