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conomic Trend (경기)
• 2014년 7월 울산 경기동행종합지수는 111.3으로 전월과 비교해 0.4% 하락했으며, 현재 경기상황을 보여주는 경기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98.6으로 전월보다 0.7p 하락했다.
• 계절조정된 5개 구성지표의 추세순환계열 중 실질수출은 전월보다 증가했지만, 광공업생산지수와 소비재 내수출하지수, 생산자출하지수가 각각 0.4%, 1.6%, 2.0% 감소하며 7월 내림세를 반영했다.
■ Trade (무역)
• 울산의 8월 수출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4.4% 증가하며 7,761백만 달러를 기록했다. 해양플랜트의 對 마셜군도와 라이베리아 수출이 많이 늘어나며 전년 같은 기간보다 128.0% 증가했고, 자동차 수출은 對 미국과 사우디아라비아, 호주 등 주요 국가 수출이 많이 줄어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22.4% 감소했다.
• 울산의 수출품목 1위인 석유제품은 對 싱가포르와 네덜란드, 인도네시아 수출이 많이 증가하며, 전년 같은 기간보다 20.4% 증가했다.
■ Production (생산)
• 2014년 울산의 7월 제조업 생산지수(계절조정)는 112.1로 전월보다 0.2% 감소했다. 석유 정제품(8.8%)과 자동차(5.2%), 이차전지(2.3%), 기계장비(5.5%) 등의 생산이 전년 같은 기간보다 증가했고, 화학제품(3.9%)과 조선(10.9%) 등의 생산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감소했다.
• 제조업 출하지수(계절조정)는 109.7로 전월보다 2.0% 감소, 재고지수(계절조정)는 129.2로 전월보다 6.7% 증가했다.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석유제품과 기계장비 등의 출하가 늘고, 재고가 감소했다.
• 울산 국가산업단지의 2014년 6월 생산은 108,160억 원, 수출은 5,667백만 달러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각각 10.8%, 9.7% 감소, 고용은 102,759명으로 전년 동월과 비교해 1.6% 증가했다. 온산 국가 산업단지의 생산은 38,419억 원, 수출은 1,738백만 달러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각각 6.1%, 1.7% 감소, 고용은 16,595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0.3% 증가했다.
■ Investment (투자)
• 울산의 8월 자본재 수입은 동제품과 회전기기 등의 품목이 늘어나며, 전년 같은 기간보다 8.2% 증가한 543백만 달러를 기록했다.
• 2014년 7월 울산의 건설투자는 공공부문 발주가 늘어났지만, 건설수주액이 129,585백만 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6.4% 감소했다. 아파트 등 공동주택과 판매시설, 자동차 관련 시설의 건축 허가와 공장과 판매시설, 제1종 근린생활시설의 착공이 많이 늘어나며 건축허가면적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13.8% 증가했고, 건축물 착공면적은 전년 동월과 비교해 25.6% 감소했다.
■ Consumption (소비)
• 2014년 7월 울산 소비는 대형마트 판매액이 전월보다 1.1% 늘어났지만, 백화점 소비가 전월 및 전년 같은 기간보다 모두 많이 감소해, 대형소매점 판매액이 1,483억 원으로 전년 동월보다 9.2% 감소했다. 전국 소비는 대형마트와 백화점을 포함한 대형소매점 판매액이 전년 같은 기간보다 늘어나며 다소 회복세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