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 |
「울산 부평역촌 일원 건물지 배치양상과 변천 연구」는 역사적 기록만으로 알려졌던 조선시대 울산군 부평역과 촌락은 최근 고고학 발굴조사를 통해 부평역촌으로 추정되는 유적이 확인되어 이를 문헌자료와 고지도 등과 함께 비교 검토함으로써 그 흔적을 확실히 함으로써 역사적 사…
|
|
황대일 |
2015 |
|
4258 |
62 |
「울산의 지역극장 ‘울산극장’의 역사와문화적 의의 연구」는 근대 초창기 문화적으로 낙후된 지역으로 인식된 울산에 극장 겸 공회당이 세워지고 이를 통해 문화적 운동과 관련된 예술활동을 전개한 사실을 살펴봄으로써 울산극장의 역사성과 예술성을 찾고자 하였고 이를 통해 문화도…
|
|
김남석 |
2015 |
|
5135 |
61 |
울산의 독특한 전통문화의 발굴과 계승이라는 의미에서 울산지역 동제당 및 동제 현황을 충실하게 기록하고, 동제당과 동제를 보전해 나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날로 약화되어 가는 지역공동체를 활성화시키고자 하였습니다. 1부 도시와 마을의 신 이해하기 Ⅰ. 울산지역 …
|
|
강혜경, 한삼건 |
2015 |
|
4889 |
60 |
자체연구과제는 산업도시 반세기 울산사람들의 생활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구술 생애사를 연차과제로 진행하기로 한 첫해, 최근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를 위해 노력하는 해녀들의 생애사를 울산지역에서도 기록으로 남기고자 『바다와 더불어 살아온 일생-울산 해녀 이야기』로 하…
|
|
변일용,이경희,원영미 |
2015 |
|
5140 |
59 |
선생안(先生案)이란 중앙과 지방의 관아(官衙)와 기관(機關)에서 전임 관원(官員)의 성명, 관직명(官職名), 도임(到任)과 이임(離任), 그리고 특기할 만한 일 등을 적어놓은 책으로 일명 안책(案冊)이라고도 한다. 작성 시기를 기준하여 등재인물이 현임자의 전임자라는…
|
|
박채은 |
2015 |
|
699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