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울산연구원
> 연구성과물 > 울산학연구보고서

울산학연구보고서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밴드 구글플러스

보고서명 통합 울산선생안
연구부서 울산역사연구소 과제분류
연구진 박채은 발행연도 2015
첨부파일 분량/크기 27.3M

  선생안(先生案)이란 중앙과 지방의 관아(官衙)와 기관(機關)에서 전임 관원(官員)의 성명, 관직명(官職名), 도임(到任)과 이임(離任), 그리고 특기할 만한 일 등을 적어놓은 책으로 일명 안책(案冊)이라고도 한다. 작성 시기를 기준하여 등재인물이 현임자의 전임자라는 데서 <선생안>이라는 이름이 붙게 되었다.

 우리 울산에는 예부터 여러 관아와 기관들이 설치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기관이나 관아의 역대 수장들의 명단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선생안>이 전해오는 것이 없었다. 단지, 2012년 울산박물관에서 간행한 국역『울산부선생안』만이 있을 뿐이다. 그나마 그것도 관(官)에서 소장하고 있던 것이 아니고 개인이 소장하고 있던 것이었으며, 표제(表題)도「울산부치적(蔚山府治績)」이라고 되어 있던 것을 『울산부선생안』으로 명명(命名)하여 간행물로 탄생시킨 것이다.

  그것은 임진왜란이 끝난 직후인 1598년부터 1906년까지 약 400여 년간 역임한 울산도호부사와 울산군수들의 임명, 도임, 이임, 거주지, 치적사항, 향리 명단 등의 관련 내용을 담아놓은 귀중한 자료였다.
 이번에 나오게 되는 “통합『울산선생안』(부제: 역대 관안)”은 본래의 책명(冊名)이 아니고 아래 15종(種)의 기관·단체장들의 명단을 기관별로 한 데 묶어서 편의에 따라 명명한 것이다. 그 시기도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의 전 시기와 일제강점기를 거쳐 현재에 이르기까지를 통틀어 포함하였으며, 각종 문헌과 자료 등을 통해 확인한 후 가장 정확하다고 판단되는 내용만을 가려서 등재하였다.

  단, <일러두기>는 각 기관별로 그 기관의 앞부분에서 설명하며, <참고문헌>도 개별적으로 뒷부분에 실었다. 그리고, 관련 고지도가 있는 기관은 앞머리에 실었다.
  또한, 이 책에 등재되는 인물의 성씨(姓氏) 가운데 한자어「劉·兪·柳」중「柳姓」인 경우에는 유(劉·兪)와 구분하기 쉽게 한글 표기는 "류□□"로 하였다.

 

  이 책에 수록될 기관과 시기 및 대상은 다음과 같이 한정(限定)하였다.

1) 경상좌도병마절도사영 : 조선 태조 원년(1392년)~고종 32년(1895년). 

2) 경상좌도수군절도사영 : <상 동> 

3) 울산 남목마성(南牧馬城) : 효종 6년(1655)~고종 32년(1895). 

4) 황산도역(1562~1870)과 장수도역(1622~1895). 

5) 언양현(彦陽縣) : 조선 태종~1914년.<감무→현감→군수>
6) 울산도호부 : 고려~조선시대~일제강점기~현재. 

7) 울산광역시의회 : 1991년~현재.
8) 울산광역시교육청 : 1952년~현재.<교육감→교육장→교육감>
9) 울산기상대 : 1945년~현재.<관측소→측후소→기상대>
10) 울산우체국 : 1949년~현재.
11) 울산지방법원 : 1982년~현재.<지법원장→법원장>
12) 울산지방검찰청 : 1982년~현재.<지청장→검사장>
13) 울산지방경찰청 : 1945년~현재.<울산경찰서→울산중·남·동부서→지방청>

14) 국회의원(울산지역) : 초대~제19대.
15) 울산경비사령부 : 1968년~현재. 

 

  이 책에 수록된 명안(名案)은 단순한 명단이 아니고 당시의 역사적 사실을 부분적으로 간략하게 기록하고 있으며, 앞으로 후세인들이 울산의 지역사를 들여다 볼 수 있는 가장 기초적 자료이다. 또한, 증빙(證憑)할 수 있는 출전(出典)을 제시하였기에 신뢰할 수 있는 확실한 자료이기도 하다. 그러나, 수년에 걸쳐 최선을 다해 충실히 조사·채록하였지만 아직은 미흡한 부분이 많다고 보아지므로 후세 연구자들이 계속 조사·연구하여 확실하게 수정·보완해 주길 바랄뿐이다. 

 

<중략>

 

  아무쪼록 이 책자가 울산의 지역사를 연구하는데 기초자료로 널리 활용되어 작은 보탬이 되길 기대한다. 

(44720)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중로 6 TEL.052-283-7700 FAX.052-289-8668
COPYRIGHT(C) Ulsan Research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