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울산연구원
> 연구성과물 > 울산학연구보고서

울산학연구보고서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밴드 구글플러스

보고서명 울산의 문화유산 이야기 꽃을 피우다
연구부서 울산역사연구소 과제분류
연구진 김석택,원영미, 이경희 발행연도 2014
첨부파일 분량/크기 63.4M

  문화유산은 과거 인류가 남겨놓은 유·무형의 문화적 자산이다. 문화유산을 제대로 알고, 보존하여 미래 세대에게 물려주는 것은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 시대의 과제이기도 하다. 문화유산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을 높이기 위해 새롭게 다가갈 필요가 있다.

   문화유산은 과거 인류가 남겨놓은 유·무형의 문화적 자산이다. 문화유산을 제대로 알고, 보존하여 미래 세대에게 물려주는 것은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 시대의 과제이기도 하다. 문화유산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을 높이기 위해 새롭게 다가갈 필요가 있다.

   울산의 문화유산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은 매우 높아졌고 관련 책자들도 많이 발간되었으나 좀 더 많은 시민들이 쉽게 이해하고 접근하는 방법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

   유형의 문화재와 민담이나 전설과 같은 무형의 문화유산을 연결하여 스토리텔링화 함으로써 시민들의 문화유산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높여, 청소년을 비롯한 시민들이 쉽게 문화유산에 접근할 수 있게 한다.

   태화강을 거슬러 올라, 역사를 거슬러 올라, 달 밝은 밤에 노래하고 춤추는 처용, 문수산에는 문수보살이 살고 있을까?, 동쪽 부처의 나라를 찾아온 인도의 배, 바위에 남은 선사인들의 염원과 갈문왕의 사랑, 가지산이 석남사를 품다, 그 많던 승려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우리 지역과 우리 글은 우리가 지킨다 병영성과 외솔기념관, 철광산과 신라의 관문, 바다를 지키는 사람들, 그들을 만나다!, 울산에도 산신이 살고 있을까?, 조선시대 울산이 이곳에 있었네, 나라를 지켜라, 울산을 수호하라!, 바다에 맞서 싸운 그들 - 바다를 장악하라, 바다를 지켜라!, 박상진 호수공원가에서 보내는 하루, 신화벽화마을과 장생포구, 작괘천가에서 만나는 문화유산, 대곡천엔 고래와 사슴이 뛰어놀고, 옛날 언양은 이런 곳이었다네!, 임진왜란과 삼일만세운동의 현장, 승려가 된 신라 왕자범공을 찾아서 떠나다, 치술산 신모가 된 박제상의 아내를 만나다, 청동기시대 마을과 돌무지무덤 등 23개의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김석택 연구진의 다른 보고서
보고서명
(44720)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중로 6 TEL.052-283-7700 FAX.052-289-8668
COPYRIGHT(C) Ulsan Research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