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울산연구원
> 연구성과물 > 울산학연구보고서

울산학연구보고서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밴드 구글플러스

보고서명 울산학연구 제18호 - 조선시대 '울산읍지' 편찬과 항목 구성 체계
연구부서 울산역사연구소 과제분류
연구진 하유식 발행연도 2023
첨부파일 분량/크기 29.5M

조선시대 ‘울산읍지’는 첫째, 읍지의 유형 변화가 거의 없다. 읍지 편찬의 폭이 넓지 않았다는 의미이다. 둘째, 울산 지역색이 드러나는 항목이 강화되어 있다. ‘제영’ 항목은 양적인 측면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충절’ 항목의 강조와 임진왜란 때 울산지역 의병의 활동을 상세하게 서술한 점 등은 지역의 특색을 잘 보여주는 항목 구성이다. 셋째, 시대 흐름에 따른 상황 변화를 적절하게 반영하였다. 18세기 중반의 『학성지』에 상세하게 수록된 기층민의 풍속은 1871년 읍지에는 ‘허황하고 우스운 이야기’ 항목에 따로 간략하게 편성됨으로써 울산 재지사족들의 풍속에 대한 후퇴한 인식을 보여준다. ‘두모악’에 대한 생생한 기록과 재직한 울산부사에 대한 기록인 ‘관안’도 충실하게 전하고 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조선전기 전국 지지 편찬과 울산

 

Ⅲ. 『학성지』와 18세기 '울산읍지'

 

Ⅳ. 19세기 '울산읍지' 편찬과 구성 체계

 

Ⅴ. 맺음말 

(44720)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중로 6 TEL.052-283-7700 FAX.052-289-8668
COPYRIGHT(C) Ulsan Research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