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울산연구원
> 연구성과물 > 울산학연구보고서

울산학연구보고서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밴드 구글플러스

보고서명 울산의 환경문제와 환경운동
연구부서 사무국 과제분류
연구진 한상진, 정우규, 구도완 발행연도 2008
첨부파일 분량/크기 1.6M

2008년 울산학연구 기획연구과제 "울산의 환경문제와 환경운동"

연구자: 한상진, 정우규, 구도완

 

우리나라의 환경 문제와 환경 운동에서 울산이 차지하는 위치는 매우 특별합니. 한국의 산업화를 이끈 1960년대 이후의 울산 석유 화학 공단 및 온산공단의 조성은 경제 성장과 일자리 창출에 기여했지만, 삼산 평야의 매연 분쟁에서부터 온산병을 둘러싼 논란에 이르기까지 한국 주민 환경 운동의 원류를 이루어 왔습니. 1980년대 이후 울산의 환경 문제와 그것을 개선하기 위한 울산 환경 운동의 노력은 산업화에 따른 현대 문명의 모순을 타개하려는 사회 발전의 주요 동력 가운데 하나를 차지해 왔다고 하겠습니다.

이 책은 울산 환경 운동 연합을 중심으로 하여 1980년대 중반 이후의 울산 환경문제라는 맥락 아래 울산의 환경 운동이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지를 다룹니다. 책에서는 물론 태화강 보전회, 울산 생명의 숲 등 다양한 울산 환경 운동 단체들의 활동을 다루고 있지만, 대체로 울산 환경 운동 연합이라는 주요 단체를 중심으로 서술하는 한계를 드러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점은 앞으로의 울산 환경 운동사 서술을 통해 극복되기를 기대해 봅니다.

이 책의 집필 과정에서 도움을 주신 여러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우선 연구비를 지원하고 연구 과정을 독려해 준 울산학 연구 센터 김석택 실장님과 이경희 연구원님께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중간보고, 최종 보고와 최종심의 과정에서 귀중한 조언을 주신 여러 토론자, 심의자 선생님께도 고마움을 전합니다. 특히 자료 제공과 면접에 도움을 주신 한기양 목사님, 장태원김장용 울산 환경 운동 연합 공동 대표님들께 감사드리고자 합니다.

아무쪼록 이 자그마한 연구가 울산의 환경 문제와 환경 운동에 접근하는 이후 연구들에 약간의 보탬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44720)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중로 6 TEL.052-283-7700 FAX.052-289-8668
COPYRIGHT(C) Ulsan Research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