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르고 푸르렀던 고향의 잘피밭
-울산만 연안 잘피(일명 진저리.몰) 서식지를 찾아서-
김한태(울산학연구센터장), 김종헌(울산광역시 전 해양수산과장)
서문
1.잘피
1) ‘잘피’ ‘몰’ ‘진저리’ 란 이름의 식물
2) 잘피의 가치
3) 잘피의 법적지위와 보전
4) 잘피에 대한 새로운 인식
팁 1> 해초와 해조의 차이점
2.울산의 잘피는 어디에, 어떻게 서식했나?
1) 염포.개운포의 절멸
2) 일산.방어진.상진.정자.신리의 잔존
3) 잘피의 한 종인 새우말 서식(말잘피)
4) 풍락초에서 찾아본 일산.개운포의 잘피
5)수중드론으로 살펴본 서식지
팁 2>잘피 가치를 금전으로 환산하면?
3.잘피에 대한 기록
1) 잘피의 대규모 서식과 대절멸 기록 전무
2) 방어진항 끝에서 잘피 발견 보도
팁 3>득량만 잘피밭 풍경
4.잘피복원 노력들
1) 일산 고늘지구 이식
2) 태화강 하구 잘피복원 실험
3) 태화강 하구 첫 잘피복원 시도
4) 울산시는 2005년 12월 동구 일산 잘피 1만포기를 옮겨 심은 실험 결과?
5) 당항포.가로림만 복원사례
팁 4> 블루카본 저장소로서의 잘피밭
5.세계의 잘피복원운동
1)UN 잘피의 날 추진
2) 유럽의 잘피 보전운동
3) 인도-태평양의 보전활동
4) 국제기구의 보전활동
팁 5> 해마는 왜 잘피밭에 많을까?
6.잘피의 추억
1)개운포 이재구
2)개운포 장송자
3)염포 박유미
4)일산 박달준
7.남해안 동대만 답사기
팁 6> 해양수산부에게 울산 잘피밭 정밀조사 요청할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