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8 |
푸르고 푸르렀던 고향의 잘피밭 -울산만 연안 잘피(일명 진저리.몰) 서식지를 찾아서- 김한태(울산학연구센터장), 김종헌(울산광역시 전 해양수산과장) 서문1.잘피1) ‘잘피’ ‘몰’ ‘진저리’ 란 이름의 식물2) 잘피의 가치3) 잘피의 법적지위와 보전4) 잘피에 대…
|
|
김한태,김종헌 |
2019 |
|
6950 |
87 |
울산의 대장간 문화-언양매일대장간 박병오의 사례연구- 문혜진(한양대학교 글로벌다문화연구원 연구위원) Ⅰ. 들어가며 Ⅱ. 울산의 달천철장과 대장간 1. 한국 대장간의 역사 2. 울산의 달천철장과 대장간 문화 Ⅲ. 대장간의 철기 생산방식 1. 전통적인 철기 생…
|
|
문혜진 |
2019 |
|
6908 |
86 |
울산의 도시 정체성 재구성 양상과 과제-문화생산물ㆍ문화경관을 중심으로- 조명기(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교수) Ⅰ. 도시 정체성 상상을 위한 전제 Ⅱ. 공업도시 울산 정체성의 생성과 구축 1. 근대 국민국가 유기체론과 공업도시 울산의 탄생 2. 도시 …
|
|
조명기 |
2019 |
|
6914 |
85 |
울주 천전리 고분군 보존관리를 위한 제언 권용대(울산문화재연구원 연구관) Ⅰ. 머리말 Ⅱ. 울산지역 고분군 현황과 성격 1. 울산지역 고분의 특징 …
|
|
권용대 |
2019 |
|
6146 |
84 |
이현주(문화재청 문화재감정위원) Ⅰ 머리말 Ⅱ 장도의 역사 Ⅲ 문헌기록과 조사연구성과로 살펴 본 울산 병영의 전통공예와 장도 Ⅳ 울산 병영 장도장의 생애와 전승양상 1. 임차출와 임장식2. 임원중과 임동훈3. 허균과 허명4. 장추남Ⅴ 울산 병영 장도의 제작기술 …
|
|
이현주 |
2018 |
|
7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