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의 도시 정체성 재구성 양상과 과제
-문화생산물ㆍ문화경관을 중심으로-
조명기(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교수)
Ⅰ. 도시 정체성 상상을 위한 전제
Ⅱ. 공업도시 울산 정체성의 생성과 구축
1. 근대 국민국가 유기체론과 공업도시 울산의 탄생
2. 도시 정체성 변화의 시도와 성과
3. 현재 상황의 근원적 한계
Ⅲ. 문화생산물ㆍ경관을 통한 도시 정체성 소비(재구성) 양상
1. 비장소성(非場所性) 혹은 무장소성(無場所性)
2. 비장소성적ㆍ무장소성적 도시 재현에 대한 울산의 공간적 실천
3. 역사 속에서 발견ㆍ선취해내는 도시 정체성 그리고 그에 따른 곤경
Ⅳ. 자기 동일성을 위한 새로운 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