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3 |
최선일(문화재청 문화재감정위원)홍은미(옥천사 성보박물관 학예연구실장) Ⅰ 머리말 Ⅱ 울산 사찰 봉안 근대 불교문화재 Ⅲ 울산의 근대 불교문화재의 가치 Ⅳ 맺음말
|
|
최선일, 홍은미 |
2018 |
|
5864 |
82 |
∙ 「일제 강점기 울산 방어진의 상설극장 상반관(常盤館)의 사주와 기능」 김남석(부경대학교 교수) Ⅰ 서론 Ⅱ 상반관과 그 주변 환경 1. 방어진의 역사와 지역의 상황2. 상반관과 방어진항Ⅲ 상반관의 사주와 극장의 위상 1. 방어진 일대의 극장(들)과 상반관의 …
|
|
김남석 |
2018 |
|
5440 |
81 |
‘울산 옛터비에 담긴 기억들- 공단 이주민 이야기’는 남구 석유화학단지 이주민들을 인터뷰를 정리한 구술자료집입니다. 특정공업단지 지정의 에피소드, 조상대대로 살아온 지역을 떠나야 하는 안타까움, 이주한 이후 급변한 일상생활, 고향에 대한 그리움 등을 담았습니다. …
|
|
원영미, 이경희 |
2018 |
|
5007 |
80 |
울산은 다양한 모습을 가진 도시이다. 그 중 가장 대표적인 모습이 회색빛 굴뚝 이미지이다. 울산의 긴 역사에서 회색 굴뚝의 도시인 울산은 불과 3〜40년에 불과하다. 길지 않은 시간 동안 울산은 전 국민의 관심을 받는다. 그들의 눈에 비친 울산의 모습이 잘못된 것은 …
|
|
김선주 |
2018 |
|
5074 |
79 |
울산은 유난히 산이 많은 곳입니다. 특히 서쪽으로 밀양시와 청도군, 북쪽으로 경주시, 남쪽으로 양산시와 접한 울주는 해발 1,000m가 넘는 고산준령(高山峻嶺)이 자연 경계를 이루고 있는 곳입니다.울주군에 있는 많은 산에는 할머니 치맛주름처럼 뻗어 내린 골짜기들이 있습…
|
|
박채은 |
2018 |
|
446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