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울산 연극 인물사를 위한 토대 작업에 해당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시행하기 위해서 연구 범위를 울산 연극인 가운데 가장 핵심적인 위치에 있는 ‘범곡 김태근’에게 초점화하고자 하며, 이러한 목적에 따라 그의 생애와 작품을 정리하고, 그의 희곡과 공연이 지닌 미적·사회적·지역사적 가치와 의미를 해명하는 데에 주안점을 두고자 했다.
Ⅰ. 서론과 문제 제기 68
Ⅱ. 김태근의 생애와 이력 74
1. 김태근의 생애 74
2. 김태근의 청년 시절의 ‘청년 운동’ 81
3. 김태근의 음악 활동과 그 성과 88
4. 김태근의 문학/문화적 이력과 희곡 작품 연보 92
Ⅲ. 김태근의 희곡과 작품 세계 1 108
_ 역사적 상흔과 대처 방식으로 희곡 쓰기
1. 강간 모티프와 여인들의 피폐화 108
2. ‘시대의 어둠’과 ‘자아의 어둠’의 병치 114
Ⅳ. 김태근의 희곡과 작품 세계 2 121
_ 지역성과 정체성의 상실에 대한 강변
1. ‘사라져 가는 것’들에 대한 응시 121
2. 현대 문명에 대한 거부와 반발 126
Ⅴ. 결론 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