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변에 많은 어린이공원,
‘다기능 공간자원’ 활용하자
이주영 연구위원/미래도시연구실
<현황 및 분석>
○ 주거지역 내 놀이터(어린이공원) 산재… 오픈 스페이스 자원으로 활용 가능
○ 어린이공원 재정비 사례
<시사점 및 제언>
○ 입지 지역 특성 반영한 ‘테마형 어린이공원’으로 정비
○ 공공디자인을 적용한 ‘수요맞춤형 놀이터’ 조성
○ 세대 공존형 어린이공원 조성 필요
보고서명 | 울산도시환경브리프 No.85 | ||
연구부서 | 안전환경연구실, 안전환경연구실 | ||
과제분류 | 발행연도 | 2020 | |
첨부파일 | 분량/크기 | 2.2M | |
다운로드수 | 4777 | 조회수 | 7174 |
주변에 많은 어린이공원,
‘다기능 공간자원’ 활용하자
이주영 연구위원/미래도시연구실
<현황 및 분석>
○ 주거지역 내 놀이터(어린이공원) 산재… 오픈 스페이스 자원으로 활용 가능
○ 어린이공원 재정비 사례
<시사점 및 제언>
○ 입지 지역 특성 반영한 ‘테마형 어린이공원’으로 정비
○ 공공디자인을 적용한 ‘수요맞춤형 놀이터’ 조성
○ 세대 공존형 어린이공원 조성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