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안정성 양극화 해소를 위한 가구 특성별 주거복지정책 절실
이주영 연구위원/정책연구실 도시공간팀
<현황 및 분석>
○ 울산의 주거특성, 소득 낮을수록 자가점유율 낮고 단독주택 거주비율 높아
○ 가구주 연령이 많을수록 주택소유율이 높고, 노령기에는 다시 하락
○ 1인가구의 주택소유율이 가장 낮고, 가구원 수가 많을수록 상승
<시사점 및 제언>
○ 울산지역 가구 특성에 따른 세분화된 주거복지정책 수립 필요
보고서명 | 울산도시환경브리프 No.73 | ||
연구부서 | 경제사회연구실, 도시공간팀 | ||
과제분류 | 발행연도 | 2018 | |
첨부파일 | 분량/크기 | 264.6K | |
다운로드수 | 3362 | 조회수 | 5524 |
주거안정성 양극화 해소를 위한 가구 특성별 주거복지정책 절실
이주영 연구위원/정책연구실 도시공간팀
<현황 및 분석>
○ 울산의 주거특성, 소득 낮을수록 자가점유율 낮고 단독주택 거주비율 높아
○ 가구주 연령이 많을수록 주택소유율이 높고, 노령기에는 다시 하락
○ 1인가구의 주택소유율이 가장 낮고, 가구원 수가 많을수록 상승
<시사점 및 제언>
○ 울산지역 가구 특성에 따른 세분화된 주거복지정책 수립 필요